본문 바로가기
각종지원금

2025 주거관련 보조금 총정리|청년·신혼부부·무주택자 꼭 확인!

by 인포믹스64 2025. 5. 8.
반응형

주거보조금

전세자금 걱정? 월세 부담?
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주거 보조금 제도를 총정리했습니다.
2025년 최신 내용을 기준으로, 청년, 신혼부부, 무주택자 모두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쉽게 안내해드립니다.

 

청년 월세 지원

  • 대상: 만 19세~34세 이하 청년, 중위소득 60% 이하
  • 지원금: 월 최대 20만 원 × 12개월 (총 240만 원)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지자체 포털
  • 주의 사항: 실제 거주 및 임대차 계약 증빙 필요

 관련 정보: 복지로 청년 월세 지원 바로가기


버팀목 전세자금 대출

  • 대상: 무주택 세대주,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  • 대출한도: 수도권 1.2억 / 지방 8천만 원
  • 금리: 연 1.2~2.4% (2025년 기준)
  • 특징: 중도상환수수료 없음 / 신혼부부 우대금리

 은행 창구 또는 온라인(기은, 농협 등)에서 신청 가능


 신혼부부 주택자금 지원

  • 대상: 혼인 7년 이내 부부, 무주택 세대
  • 전세대출: 최대 2억 원, 연 1.2%
  • 구입대출: 최대 2.2억 원, 연 1.6%
  • 추가지원: 자녀 수에 따라 대출 한도 상향

소득 기준: 연 7천만 원 이하 / 자녀 2명 이상은 우대 가능


 주거급여 제도

  • 대상: 중위소득 47% 이하
  • 내용:
    • 월세 지원
    • 자가 소유 시 주택 수선비 지원
  • 신청 방법: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

 가구원 수, 주거 형태에 따라 지원금 달라짐


 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

  • 대상: 만 19~34세 청년, 소득 5천만 원 이하
  • 조건: 보증금 5천만 원 이하, 월세 70만 원 이하
  • 내용:
    • 보증금 최대 3,500만 원
    • 월세 최대 40만 원
  • 금리: 연 1.0~2.0%

 한국주택금융공사 및 시중은행에서 신청 가능

지자체별 주거 지원

서울시, 경기도, 부산시 등에서 추가 주거 지원제도 운영 중입니다.

 예시

지역제도주요 내용
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월 20만 원, 최대 10개월
경기도 이자지원 전세보증금 이자 연 2% 내외
부산시 신혼부부 이자지원 주택구입 대출 이자 일부 지원
 

📎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'주거지원' 검색 필수


자주 묻는 질문

Q. 주거 관련 보조금은 중복 수령 가능한가요?
→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. 동일 항목(예: 전세자금) 중복은 어려우나, 월세지원+대출 병행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Q. 언제 신청해야 하나요?
→ 일부 제도는 연중 상시 접수 / 일부는 예산 소진형이라 빠른 신청 필요합니다.

Q. 본인 조건에 맞는지 어디서 확인하나요?
복지로 통합검색 이용 시 조건별 맞춤 혜택 확인 가능


마무리

주거비는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지출입니다.
정부 지원 혜택을 적극 활용해 내 지출을 줄이고,
내 집 마련의 첫걸음을 준비해보세요!

 


블로그 고지사항

본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, 실제 정책 및 지원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.
정확한 신청 자격 및 최신 정보는 정부 및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반응형